자세히보기
320x100
320x100
SMALL

3D 6

ENDER-5 3D PRINTER CHAMBER (3d프린터 챔버) DRAWING!

안녕하세요! '아모게' 입니다. 집에서 3D 프린터를 3~5시간동안 돌려보니, 최대한 조용하게 사용하려고 해도 거슬리는 소리가 들리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3d 프린터는 ENDER-5 이고, 제 나름대로 프린터 챔버를 만들어서 사용하기 위해 오늘도 그림을 하나 그려봅니다. 필라멘트를 프레임의 안쪽으로 재설치를 하면 박스형태의 사이즈를 많이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언젠가는 만들겠지만, 지금 당장에는 기록만 남겨봅니다. 확실히 없는 것 보다는 나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3D 2022.03.06

삼각대 퀵슈/플레이트에 인조가죽 붙이기

안녕하세요! '아모게'입니다. 삼각대 퀵슈를 3D 프린터로 출력하고 실리콘 몰드를 제작했었으나, 저의 경험 부족으로 마감까지 진행하지 못하였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여기서 포기하지 않았습니드아아아아~! https://youtu.be/7oBHrYySYLs 퀵슈와 카메라 사이에 폭신한 무언가가 없으면 카메라에 상처가 생길 것 같아서 굴러다니던 인조가죽을 사용해 봅니다. 양면테이프와 만능 순간접착제로 붙여줍니다. 이 정도만 해줘도 짱짱하게 잘 붙습니다. 만능 순간접착제 만든 사람은 상 줘야 합니다. 1차 모서리 부분을 마감해주고 섬세하게 정리해 줍니다. 영상에도 보셨듯이 결과물은 매우 SOSO 합니다!^^ 마지막에 1/4인치 노브를 달아주면 폭신폭신, 부드러운 퀵슈가 완성이 됩니다. 퀵슈를 여러 개 만든 이유..

3D 2022.02.23

실리콘 몰드 감각적으로 만들기!

안녕하세요^^ '아모게' 입니다. 삼각대 퀵슈/플레이트를 만들고 이후에 후가공과 실리콘 몰드를 제작하는 과정을 담았습니다. https://youtu.be/WGRcNd1Gfws 실리콘 몰드 3D 프린터의 표면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프라이머/서페이서 작업 과정을 거칩니다. 이 부분은 안 하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표면을 잘 정리해 주면 결과물도 기대 이상으로 나옵니다. 이렇게 서페이서 작업을 마치고 400 or 600방 정도의 사포로 표면을 정리해 줍니다. 너무 높은 방수로 샌딩을 하면 포면이 잘 갈리지 않아서 전완근이 뻐근해집니다. 저는 자보용 스프레이로 연습 삼아서 도장을 해 주었으나 이 부분은 해도, 안 해도 무방한 작업입니다. (선택사항) 전 제 나름의 즐거움으로 작업한 것이기에 꼭! 따라 하..

3D 2021.12.30

카메라 삼각대 '벨본 EX-440' (Velbon EX440) 퀵슈/플레이트 만들기!

안녕하세요! '아모게' 입니다. 카메라 삼각대로 Velbon EX-440 모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EX-440 삼각대는 알루미늄 소재여서 가볍고, 튼튼하고 가격도 착해서 부담 없이 사용하기 좋은 삼각대라고 생각합니다. 서론은 이만 줄이고, 간단하게 진행해 볼 것은 삼각대 ‘퀵슈’ 또는 ‘플레이트’ 라고 얘기하는 녀석을 만들어 보는 시간입니다 이유인 즉, 퀵슈가 하나라서 사용하는 카메라마다 ‘꼈다, 뺐다’를 반복하는 부분이 문제였기 때문입니다. “에~!! 그거 그냥 하나 사면되지 뭘 시간 아깝게 만드냐” 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지만, 현재 벨본 퀵슈 QB-46 는 6,900원에 배송비 하면 10,000원에 가까워지는 마법이 일어납니다. 아주 무시무시한 녀석입니다. 실측 모델링을 해주고 STL 저장 > 큐..

3D 2021.11.22

3D PRINTER 로 만든 손잡이가 적용 된 안전밀대 “푸쉬블럭” DIY

이전 영상에서 안전 밀대로 사용하려고 손잡이만 3D 프린터로 제작했었습니다. https://knowledgecafeyo.tistory.com/4?category=946376 테이블쏘 (GTS10XC)를 위한 푸쉬스틱과 푸쉬블럭 3D프린터로 제작하기! (Making push sticks and push blocks w 최근 구입한 테이블쏘 (BOSCH GTS 10XC)를 더욱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푸시 스틱'과 '푸쉬 블럭' 3D 프린터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킥백'은 안전하게 사용한다고 해도 위험성은 반드시 인지해야 하 knowledgecafeyo.tistory.com 그 후에 손잡이가 저 멀리서 놀고 있어서 가만히 놔둘 수가 없었습니다. 언제나 아이디어가 기가막힌 걸 만들어보고 싶지만 계획한 대로 ..

3D 2021.06.21

3D프린터 PLA Material의 PDM(FFF) 출력물 후가공 과정에 대하여 얘기해 봅니다~!

3D프린터 후가공에 대해 얘기해보는 시간입니다 후가공에도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 1. 퍼티로 매끈하게 메꾸기! 2. 아세톤 훈증(??) 2번의 아세톤 훈증은 ABS 재질의 PDM 방식 3D 프린터에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쓰고 있는 PLA의 경우는 해당되는 사항은 아닙니다. 일반적인 매니큐어에 쓰는 아세톤이 아닌 99.0%의 순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사용하면 큰일 납니다. 그러면!! PLA는 어떻게 후가공을 하느냐?!! 저는 바로 1번의 산업용 퍼티를 사용해서 표면을 전체적으로 잘 발라주고 샌딩 하는 것을 몇 차례 반복하는 게 가장 편리한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경험상 KCC 자보용 퍼티는 샌딩의 작업성은 좋으나 먼가 냄새가 싫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KCC 퍼티로 작업 된 사진입니다. 샌딩을 하다보..

3D 2021.06.20
320x100
320x100
SMALL